“경증은 1·2차, 중증은 빅5”···의료공백 속 ‘역설적 정상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4-03-08 05:54

본문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면서 상급종합병원 운영이 차질을 빚자 경증환자가 지역의 1·2차 병원으로 향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번 의료계 집단행동 사태가 경증환자는 1·2차 병원을, 중증환자는 상급종합병원을 찾는 ‘정상화된 의료체계’를 시험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는 셈이다.
서울 빅5(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서울아산) 병원의 한 관계자는 6일 응급실에 경증 환자가 확 줄어들었다. 이번 기회에 중증 환자 중심으로 빅5 병원이 꾸려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다른 빅5 병원 관계자도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 수가 60% 정도 줄었다고 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A씨는 경증환자가 상급종합병원으로 가지 않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라며 진작 환자들이 1·2차 병원을 이용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던 것이 문제라고 했다.
정부는 지난달 19일부터 응급실 과밀화 방지를 위해 중증·응급환자는 대형병원으로, 경증환자는 인근 응급실 또는 동네 병·의원을 이용하도록 중증도에 따른 이송지침을 적용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지난 5일 비상진료체계 점검 결과, 의료현장에서 일부 불편은 있지만 중증·응급 진료체계는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했다. 지난 4일 낮 12시 기준 응급실 일반병상 가동률은 37%,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79%였다. 이는 전공의 이탈 이전과 유사한 수준이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 환자 쏠림 문제 해소를 위해 여러 제도 개선을 시도·검토하고 있다. 지난 1월부터 상급종합병원 3곳(삼성서울병원, 인하대병원, 울산대병원)에서 ‘중증진료체계 강화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중증도가 낮은 환자를 환자의 주소지와 가까운 협력의료기관으로 회송하는 조치다. 대신 중증·희귀난치질환·고난도 진료 등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인력·시설·장비 등을 확충한다. 지난해 6월부터는 일부 의료지원 대상자를 제외한 일반 경증환자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을 때 초진 때(기존 재진 때 적용)부터 본인부담상한제(의료비 경감제도)를 적용받을 수 없도록 했다.
그러나 이같은 추세를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의료전달체계가 장기적으로 충족돼야 한다.
현재 의료인력은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쏠려 지역 종합병원이나 1차 의료기관, 특히 공공의료기관(지방의료원, 보건소 등)에서 인력을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의료 장비나 인스타 팔로워 구매 병원 시설 등의 측면에서도 수익을 올리지 못한 지역 1·2차 병원은 투자를 제때 하지 못해 경쟁력이 떨어진 상태다. 지역·공공의료에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그동안 수익성 측면이나 환자 선호, 정부 정책적 지원 측면 모두 지역의 2차병원들이 역량을 키울 수 없는 환경이었다며 2차 병원의 인력이나 장비, 시설 경쟁력을 볼 때 지금 상급종합병원의 기능을 보완하기에는 역부족한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